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Union2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유니온(UNION)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유니온(UNION)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SQL에서는 여러 테이블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합치는데, 이때 UNION 연산자가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UNION은 두 개 이상의 SELECT 문의 결과를 하나로 합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복된 행을 제외하여 고유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인 정보 검색과 분석이 가능합니다. ➡️ 유니온(UNION) UNION은 여러 테이블이나 쿼리에서 나온 결과를 통합하고, 중복된 행을 제외하여 결과 집합을 만듭니다. 이는 서로 다른 테이블에서 나온 데이터를 통합해 필요한 정보를 얻을 때 사용됩니다. ➡️ UNION 사용법UNION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 구조를 따릅니다.SELECT column1.. 2024. 1. 13.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1. [JAVA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childInstance = new Child(); childInstance.paint(); childInstance.draw(); }}class Parent { public void paint() { System.out.print("A"); draw(); } public void draw() { System.out.print("B"); draw(); }}class Child extends Parent { .. 2024.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