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론트엔드/HTML

HTML과 퍼블릭 도메인: 웹의 언어

by YUNI Heo 2023. 11. 7.
반응형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은 웹페이지를 생성하는 언어로, 웹의 기본 구조를 정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TM은 "HyperText"와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하이퍼텍스트를 생성하고 구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이퍼텍스트는 텍스트, 이미지, 링크 등 다양한 미디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웹페이지 내에서 연결하고 표현하기 위해 HTML을 사용합니다.


HTML 문서는 태그(tag)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태그들은 컴퓨터와 브라우저에게 웹페이지의 구조와 내용을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html>, <head>, <title>, <body> 등의 태그를 사용하여 웹페이지의 제목, 본문, 이미지, 스타일 시트 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HTML은 웹 개발에서의 기초 중 하나이며, 웹사이트의 구성과 모양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퍼블릭 도메인(Public Domain) 또는 자유 이용 저작물은 저작권(저작재산권)이 소멸되었거나 저작자가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포기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해당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제한이 없어져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복제, 수정, 배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는 웹을 퍼블릭 도메인으로 선언하여 어떤 저작권도 적용되지 않는 완전한 자유를 보장했습니다. 이것은 웹의 개방성과 자유로운 접근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웹은 특정 기업의 독점 기술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누구나 창의적으로 기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더불어 웹의 핵심 철학 중 하나는 접근성(accessibility)입니다. 웹은 모든 운영체제에서 동작하고, 웹페이지의 소스코드는 누구나 볼 수 있으며, 웹은 저작권이 없는 순수한 공공재입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웹을 다른 기술들과 구별되는 특별한 것으로 만듭니다. 특히 웹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접근성은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도 웹을 통해 정보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은 스크린리더(screen reader)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정보를 청각화해서 접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