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구조체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by YUNI Heo 2024. 1. 11.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구조체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구조체(Structure)는 C 언어에서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정의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여러 개의 변수를 하나의 논리적 단위로 묶을 수 있습니다. 구조체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데이터 타입을 가진 여러 변수를 묶어서 하나의 구조체 변수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의 구조화와 조직화에 용이합니다.


C 언어에서 구조체와 관련된 두 가지 연산자가 있습니다. 이는 멤버 선택 연산자(.) 화살표 연산자(->)입니다. 아래에서 각각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겠습니다.

 

➡️ 멤버 선택 연산자 (.)

멤버 선택 연산자(.)는 구조체 변수의 멤버에 직접 접근하는 데 사용됩니다. 구조체 변수와 멤버 간에는 마침표(.)를 사용하여 접근합니다.


#include <stdio.h>

// 구조체 정의
struct Point {
    int x;
    int y;
};

int main() {
    // 구조체 변수 선언 및 초기화
    struct Point p1 = {10, 20};

    // 멤버 선택 연산자를 사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
    printf("X coordinate: %d\n", p1.x);
    printf("Y coordinate: %d\n", p1.y);

    return 0;
}

 

➡️ 화살표 연산자 (->)

화살표 연산자(->)는 구조체 포인터를 사용하여 해당 포인터가 가리키는 구조체 변수의 멤버에 접근하는 데 사용됩니다. 포인터와 멤버 간에는 화살표(->)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접근합니다.


#include <stdio.h>

// 구조체 정의
struct Point {
    int x;
    int y;
};

int main() {
    // 구조체 변수 선언 및 초기화
    struct Point p1 = {10, 20};

    // 구조체 포인터 선언 및 초기화
    struct Point *ptrP = &p1;

    // 화살표 연산자를 사용하여 구조체 포인터로 구조체 멤버에 접근
    printf("X coordinate: %d\n", ptrP->x);
    printf("Y coordinate: %d\n", ptrP->y);

    return 0;
}

 

⭕ [예시] 

➡️ 2023년도 3회 실기 기출 - 5.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C 언어 연산자를 작성하시오.

 C 언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정답

화살표 연산자
->

해설

C 언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는 화살표 연산자(->)입니다. 화살표 연산자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구조체 변수의 멤버에 접근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기출]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1. [JAVA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p = new Child(); p.paint(); p.draw();

sugoring-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