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기출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by YUNI Heo 2024. 1. 7.
반응형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1. [JAVA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childInstance = new Child();
    childInstance.paint();
    childInstance.draw();
  }
}

class Parent {
  public void paint() {
    System.out.print("A");
    draw();
  }

  public void draw() {
    System.out.print("B");
    draw();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public void paint() {
    super.draw();
    System.out.print("C");
    this.draw();
  }

  public void draw() {
    System.out.print("D");
  }
}

정답

BDCDD

해설

주어진 JAVA 코드에서 Parent 클래스와 Child 클래스 간에 오버라이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버라이딩은 하위 클래스에서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를 재정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오버라이딩(Overriding)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오버라이딩(Overriding) | 필기&실기 개념

⭕ 오버라이딩(Overriding) 오버라이딩(Overriding)은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서드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재정의하는 프로그래밍 개념입니다. 이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다

sugoring-it.tistory.com



1. main 메서드에서는 Child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이를 Parent 클래스 타입의 변수인 childInstance에 할당합니다.

Parent childInstance = new Child();

2. 그 후, paint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현재 참조되는 객체는 Child 클래스의 객체이므로, Child 클래스의 paint 메서드가 실행됩니다. 이때 super.draw()를 통해 부모 클래스인 Parent 클래스의 draw 메서드가 호출되어 "B"가 출력됩니다. 이어서 "D"와 "C"가 출력되고, 현재 클래스의 draw 메서드가 호출되어 "D"가 출력됩니다.


3. 마지막으로 Child 클래스의 draw 메서드가 실행되어 "D"가 출력됩니다.


➡️ 2.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프로토콜을 작성하시오.

- 웹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위한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
- 주로 로그인 및 인증을 위한 API를 구현하는 데 사용됨

정답

OAuth
Open Authorization

해설

OAuth는 오픈 인증(Open Authorization)을 의미하며, 주로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다른 서비스나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입니다.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 정보(비밀번호 등)를 직접 제공하지 않고도, 다른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게 자신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용자의 보안을 강화하고, 다른 서비스 간에 상호 운용성을 향상합니다.


OAuth는 다른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계정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대신 인증 서버를 통해 안전하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게 하면서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OAuth (Open Authorization)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OAuth (Open Authorization) | 필기&실기 개념

⭕ OAuth (Open Authorization) OAuth는 오픈 인증(Open Authorization)을 의미하며, 주로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어떤 애플리케이

sugoring-it.tistory.com


➡️ 3.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명령어를 작성하시오.

-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 UNIX 및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
- 파일 소유자에게는 모든 권한을, 파일 소유 그룹에게는 읽기와 실행 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는 실행 권한만 부여함

정답

chmod 751

해설

chmod 751은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UNIX 및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됩니다. 여기에서 각 숫자는 특정한 권한 그룹을 나타냅니다.


  • 첫 번째 숫자 (7): 파일 소유자에 대한 권한을 나타냅니다. 이 경우 7은 "읽기(r)", "쓰기(w)", "실행(x)" 권한이 부여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두 번째 숫자 (5): 파일 소유 그룹에 대한 권한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5는 "읽기(r)", "실행(x)" 권한이 부여되었음을 의미합니다.
  • 세 번째 숫자 (1): 다른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나타냅니다. 1은 "실행(x)" 권한만 부여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파일 권한 설정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파일 권한 설정 | 필기&실기 개념

⭕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파일 권한 설정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는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한 권한을 설정하여 파일의 안전성과 보안을 관리합니다. 이러한 권한은 세 가지 주

sugoring-it.tistory.com


➡️ 4. [C 언어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include <stdio.h>

int isPerfect(int num) {
    int sum = 0;
    for (int i = 1; i <= num / 2; i++) {
        if (num % i == 0) {
            sum += i;
        }
    }
    return (sum == num) ? 1 : 0;
}

int main() {
    int limit = 300;
    int sumOfPerfect = 0;

    for (int i = 1; i <= limit; i++) {
        if (isPerfect(i)) {
            sumOfPerfect += i;
        }
    }

    printf("%d", sumOfPerfect);
    return 0;
}

정답

34

해설

1부터 300까지의 숫자 중에서 완전수라는 숫자를 찾아내고, 그 완전수들의 합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완전수는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들의 합이 자기 자신과 같은 수를 말합니다.


프로그램의 주요 부분은 isPerfect 함수와 main 함수입니다.



isPerfect 함수는 주어진 숫자 num이 완전수인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num을 1부터 num의 절반까지의 숫자로 나누며, 나누어 떨어지는 수들의 합을 계산합니다. 만약 이 합이 num과 같다면 함수는 1을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0을 반환합니다.


main 함수에서는 1부터 300까지의 숫자 중에서 isPerfect 함수를 이용하여 완전수를 찾아내고, 찾아낸 완전수들의 합을 계산하여 sumOfPerfect 변수에 더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합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0부터 300까지의 완전수는 6, 28입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완전수 알고리즘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완전수 알고리즘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완전수 알고리즘 | 필기&실기 개념 완전수(Perfect Number)는 자연수 중에서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과 같은 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28은 완전수

sugoring-it.tistory.com


➡️ 5.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C 언어 연산자를 작성하시오.

 C 언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정답

화살표 연산자
->

해설

C 언어에서 포인터를 이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는 화살표 연산자(->)입니다. 화살표 연산자는 포인터가 가리키는 구조체 변수의 멤버에 접근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구조체 멤버에 접근하는 방법은 마침표 연산자(.)를 사용하는 것인데, 포인터를 사용할 때는 화살표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구조체 변수에 대한 포인터를 선언하고, 이 포인터를 사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구조체와 포인터를 사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include <stdio.h>

// 구조체 정의
struct Point {
    int x;
    int y;
};

int main() {
    // 구조체 변수 선언
    struct Point myPoint;

    // 구조체 포인터 선언 및 초기화
    struct Point *ptr = &myPoint;

    // 화살표 연산자를 사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
    ptr->x = 10;
    ptr->y = 5;

    // 마침표 연산자를 사용하여 구조체 멤버에 접근하는 것과 동일
    // (*ptr).x = 10;
    // (*ptr).y = 5;

    // 결과 출력
    printf("x: %d, y: %d\n", myPoint.x, myPoint.y);

    return 0;
}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구조체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구조체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구조체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구조체(Structure)는 C 언어에서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을 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데이터 타입을 정의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이

sugoring-it.tistory.com


➡️ 6. [SQL] 아래의 두 테이블에 대한 SQL 쿼리가 주어졌을 때, UNION 연산의 결과를 작성하시오.

[SQL]

SELECT A FROM table1
UNION
SELECT A FROM table2
ORDER BY A DESC;

 

[table1 테이블]

A
-
3
1
4

[table2 테이블]

A
-
2
4
3

 

정답

A
-
4
3
2
1

해설

주어진 SQL 쿼리는 두 테이블(table1과 table2)에서 A 열의 값을 선택하고, UNION 연산을 사용하여 중복을 제거한 후 A 열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정보처리기사/[이전]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유니온(UNION)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유니온(UNION)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유니온(UNION)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SQL에서는 여러 테이블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합치는데, 이때 UNION 연산자가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UNION은 두 개 이상의 SELECT

sugoring-it.tistory.com


➡️ 7. [용어] 설명에 올바른 접근통제 유형을 작성하시오.

[접근 통제 방법]

a)
규칙 기반의 접근통제 방법으로, 주체의 권한에 기반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합니다.

b)
중앙 관리자가 사용자의 역할에 기반하여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입니다.

c)
신분 기반의 접근통제 방법으로, 주체나 그룹의 신분에 기반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합니다.

정답

a) 
강제접근통제
MAC 
Mandatory Access Control

b) 
역활기반접근통제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c) 
임의접근통제
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해설

a) 규칙 기반의 접근통제 방법으로, 주체의 권한에 기반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강제접근통제" 또는 "MAC (Mandatory Access Control)"입니다. 강제 접근통제는 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고려하여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접근통제 권한을 지정합니다.


b) 중앙 관리자가 사용자의 역할에 기반하여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역할기반접근통제" 또는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입니다. 역할 기반 접근통제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하는 방식으로, 중앙 관리자가 접근통제 권한을 효과적으로 지정합니다.


c) 신분 기반의 접근통제 방법으로, 주체나 그룹의 신분에 기반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것은 "임의접근통제" 또는 "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입니다. 임의 접근통제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제어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소유자가 권한을 지정하고 관리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접근통제: 임의접근통제(DAC), 강제접근통제(MAC), 역할기반접근통제(RBAC)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접근통제: 임의접근통제(DAC), 강제접근통제(MAC), 역할기반접근통제(RBAC) |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접근통제: 임의접근통제(DAC), 강제접근통제(MAC), 역할기반접근통제(RBAC) | 필기&실기 개념 데이터 보안은 현대 사회에서 핵심적인 과제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sugoring-it.tistory.com


➡️ 8. [C 언어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include <stdio.h>

int factorial(int n) {
    if (n <= 1) {
        return 1;
    } else {
        return n * factorial(n - 1);
    }
}

int main() {
    printf("%d", factorial(7));
    return 0;
}

정답

5040

해설

재귀 함수(Recursive Function)는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특별한 유형의 함수입니다. 여기서 주어진 코드에서 factorial 함수가 재귀 함수입니다. 재귀 함수를 이해하기 위해 코드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int factorial(int n) {
    if (n <= 1) {
        return 1;
    } else {
        return n * factorial(n - 1);
    }
}

 

이 함수는 정수 n을 매개변수로 받아 팩토리얼을 계산합니다. 여기서 팩토리얼은 양의 정수 n에 대해 n! = n * (n-1) * (n-2) *... * 2 * 1의 값을 나타냅니다.


  1. 함수는 입력 값 n을 받습니다.
  2. if (n <= 1)은 종료 조건입니다. 만약 n이 1 이하이면, 1을 반환하고 재귀 호출을 종료합니다. 이는 팩토리얼의 기본 정의에서 기저 사례를 처리하는 부분입니다.
  3. 그렇지 않으면, n * factorial(n - 1)을 반환합니다. 이는 현재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부분이며, 호출된 함수는 다시 n-1에 대한 팩토리얼을 계산하게 됩니다.
  4. 이 과정은 n이 1이 될 때까지 반복됩니다. 재귀 호출이 깊어짐에 따라 n이 감소하고, 마지막에는 종료 조건에 도달하여 재귀 호출이 중단됩니다.

따라서 이 코드는 7의 팩토리얼을 계산하여 출력하게 됩니다. 재귀 함수를 사용하면 팩토리얼 계산과 같은 반복적인 작업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재귀함수(Recursion Function)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재귀함수(Recursion Function)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재귀함수(Recursion Function) | 필기&실기 개념 재귀 함수(Recursive Function)는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문제를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해결하는

sugoring-it.tistory.com


➡️ 9.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통신 기술 용어를 작성하시오.

- 고정된 크기의 53 바이트 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
- 이러한 작은 크기의 셀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주로 고속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각각의 셀은 레이블(헤더)과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정답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

해설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다양한 형태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 중점을 둔 기술입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 | 필기&실기 개념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다양한

sugoring-it.tistory.com

 


➡️ 10. [C 언어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include <stdio.h>

int main() {
    const char *country = "KOREA";

    printf("%s\n", country);
    printf("%s\n", country + 1);
    printf("%c\n", *country);
    printf("%c\n", *(country + 3));
    printf("%c\n", *country + 4);

    return 0;
}

정답

KOREA 
OREA 
K 
E 
O

해설

 C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1. const char *country = "KOREA";: 문자열 "KOREA"를 나타내는 포인터 변수 country를 선언하고 초기화합니다.
  2. printf("%s\n", country);: 첫 번째 줄은 문자열을 출력하는데, %s는 문자열을 나타내는 서식 지정자입니다. 여기서는 "KOREA"가 출력됩니다.
  3. printf("%s\n", country + 1);: 두 번째 줄은 문자열의 두 번째 문자부터 끝까지를 출력합니다. country + 1은 문자열의 두 번째 문자를 가리키는 포인터이므로, "OREA"가 출력됩니다.
  4. printf("%c\n", *country);: 세 번째 줄은 포인터가 가리키는 위치에 있는 문자를 출력합니다. 여기서는 "K"가 출력됩니다.
  5. printf("%c\n", *(country + 3));: 네 번째 줄은 포인터를 세 칸만큼 이동시켜 그 위치에 있는 문자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E"가 출력됩니다.
  6. printf("%c\n", *country + 4);: 다섯 번째 줄은 포인터가 가리키는 위치의 문자를 ASCII 값으로 취급하여 4를 더한 결과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K'의 ASCII 값(75)에 4를 더한 값인 79에 해당하는 문자가 출력됩니다. 결과적으로 'O'가 출력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포인터와 문자열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포인터와 문자열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포인터와 문자열 | 필기&실기 개념 C 프로그래밍에서 포인터와 문자열은 메모리 조작과 문자열 처리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주어진 코드를 통해 이러한 개

sugoring-it.tistory.com


➡️ 11. [JAVA 코드] 주어진 재귀 함수와 규칙에 따라 결과를 계산하시오.

[규칙]

int recursiveFunction(int n) {
    if (n == 1) {
        return 1;
    } else {
        return recursiveFunction(n - 1) + (n - 3);
    }
}

[계산해야 하는 값]

int answer = recursiveFunction(4);
System.out.println("f(4) = " + answer);

정답

f(4) = f(3) + (4 - 3)
     = (f(2) + 1) + 1
     = ((f(1) + 1) + 1) + 1
     = 2

해설

여기서, 함수는 입력값 n에 대해 다음 규칙에 따라 동작합니다.

  • 만약 n이 1이면, 함수는 1을 반환합니다.
  • 그 외의 경우, 함수는 recursiveFunction(n - 1) + (n - 3)을 반환합니다.

이제 주어진 문제에서 계산해야 하는 값은 f(4)입니다.

  1. 처음에 f(4)를 호출하면, 함수는 f(3) + (4 - 3)을 반환합니다.
  2. 다음으로 f(3)을 계산하기 위해 함수는 f(2) + 1을 반환합니다.
  3. 또한 f(2)를 계산하기 위해 함수는 f(1) + 1을 반환합니다.
  4. 마지막으로 f(1)은 1을 반환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재귀함수(Recursion Function)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재귀함수(Recursion Function)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재귀함수(Recursion Function) | 필기&실기 개념 재귀 함수(Recursive Function)는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으로, 문제를 더 작은 부분으로 나누어 해결하는

sugoring-it.tistory.com


➡️ 12.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기술 용어를 작성하시오.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IP를 공인 IP 주소로 바꿔주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

정답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해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주로 IPv4 주소의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필기&실기 개념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은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기술은 사설 네트

sugoring-it.tistory.com


➡️ 13. [JAVA 코드]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을 수정하시오.

class Person {
    private String name;

    public Person(String personName) {
        name = personName;
    }

    public stat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printName() {
        System.out.println(name);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erson personObject = new Person("Kim");
        personObject.printName();
    }
}

정답

    public static String getName() {
        // 여기서 name은 인스턴스 변수이므로 정적 메서드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 따라서 아래와 같이 수정합니다.
        // return name; 
        return null;
    }

해설

  • getName 메서드를 static에서 인스턴스 메서드로 변경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name은 인스턴스 변수이기 때문에 정적 메서드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getName 메서드의 반환 타입을 String으로 변경하여 실제 이름을 반환하도록 수정합니다. 현재는 임시로 null을 반환하고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정적(static) 메서드와 인스턴스 변수 접근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정적(static) 메서드와 인스턴스 변수 접근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정적 메서드와 인스턴스 변수 접근 | 필기&실기 개념 Java에서 정적 메서드와 인스턴스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를 통해 실제 예시를 들어가

sugoring-it.tistory.com


➡️ 14.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파이썬 메서드를 작성하시오.

- num1, num2 = input()._____()
-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하는데 사용됩니다.
-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하거나 분리할 수 있습니다.

정답

split

해설

split 메서드는 파이썬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메서드를 활용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을 원하는 형태로 쉽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예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 두 변수에 할당하는 예시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split 메서드는 문자열에서 특정 부분을 추출하거나 분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plit 메서드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plit 메서드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plit 메서드 | 필기&실기 개념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다룰 때 중요한 메서드 중 하나인 split 메서드는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해 주는 강

sugoring-it.tistory.com


➡️ 15.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다이어그램 용어를 작성하시오.

- 다이어그램에서 ( a )는 여러 요소들을 묶어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적인 요소입니다.
- ( a )는 관련 있는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을 그룹화하여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시스템의 모듈화와 구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 a )는 일종의 네임스페이스로 간주되며, 코드의 모듈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정답

패키지

해설

다이어그램에서의 "패키지"는 여러 요소들을 묶어 시스템의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구조적인 요소입니다. 패키지는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관련 있는 요소들을 그룹화하여 나타냄으로써 시스템의 모듈화와 구조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코드의 모듈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패키지는 일종의 네임스페이스로 간주되어,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특정 부분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다이어그램 패키지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다이어그램 패키지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다이어그램 패키지 | 필기&실기 개념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시스템의 구조를 명확하게 표현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은 중요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 그

sugoring-it.tistory.com


➡️ 16.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테스트 기법을 작성하시오.

- 입력 데이터를 유사한 도메인으로 나누어 테스트 케이스를 선택하는 테스트 기법
- 입력값의 유효한 범위와 무효한 범위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에서 대표값을 테스트 케이스로 선택함

정답

동등 분할
Equivalence Partitioning

해설

동등 분할은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테스트 기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기법은 입력 데이터를 유사한 도메인으로 나누어 테스트 케이스를 선택하는 데에 중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다양한 입력 조건을 테스트하여 소프트웨어의 안정성을 높이고 오류를 식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동등 분할 (Equivalence Partitioning)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동등 분할 (Equivalence Partitioning)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동등 분할 (Equivalence Partitioning) | 필기&실기 개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입력값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다양성을

sugoring-it.tistory.com


➡️ 17. 다음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델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 (Platform as a Service), 및 SaaS (Software as a Service)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주어진 서비스와 해당하는 모델을 매칭하십시오.

a) Amazon EC2
b) Microsoft Azure App Service
c) Google Workspace (formerly G Suite)

[보기]

IaaS
PaaS
SaaS

정답

a) Amazon EC2 - IaaS
b) Microsoft Azure App Service - PaaS
c) Google Workspace - SaaS

해설

  • Amazon EC2는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모델에 속합니다. 이는 가상 서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EC2는 가상 머신(인스턴스)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운영 체제, 언어, 애플리케이션 및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설치 및 관리할 수 있습니다.
  • Microsoft Azure App Service는 Platform as a Service (PaaS) 모델에 속합니다. 이 서비스는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호스팅, 및 확장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에만 집중하고, 인프라 관리나 운영 시스템에 대한 걱정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 Google Workspace (이전 G Suite)는 Software as a Service (SaaS) 모델에 속합니다. 이는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말하며,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이 소프트웨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Google Workspace는 문서 편집, 이메일, 캘린더 등과 같은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나 업데이트를 거치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클라우드 컴퓨팅: IaaS, PaaS, SaaS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클라우드 컴퓨팅: IaaS, PaaS, SaaS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클라우드 컴퓨팅: IaaS, PaaS, SaaS | 필기&실기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컴퓨팅 리소스에 접근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이 패

sugoring-it.tistory.com


➡️ 18.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프로토콜을 작성하시오.

- 라우팅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 IGP(Interior Gateway Protocol)의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주로 활용됨
- 주기적으로 이웃 라우터에게 최적 경로 정보를 전송하며, 이웃 라우터의 정보를 기반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특징을 가짐

정답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해설

RIP는 라우팅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특히 IGP(Interior Gateway Protocol)의 거리 벡터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며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필기&실기 개념 RIP(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Routing Information Protocol)은 네트워크에서 라우팅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sugoring-it.tistory.com


➡️ 19. 주어진 관계 연산자에 해당하는 용어를 작성하시오.

a) ⋈
b) π
c) σ
d) ÷

정답

a) ⋈ - Join
b) π - Projection
c) σ - Selection
d) ÷ - Division

해설

a) ⋈ - Join (결합): 두 개의 테이블에서 특정 조건에 따라 행을 결합하는 연산자입니다. 일반적으로 내부 결합, 외부 결합 등이 있습니다.

b) π - Projection (프로젝션): 특정 속성(열)을 선택하여 새로운 관계를 만드는 연산자입니다. 중복된 값을 제거하고 필요한 열만 선택합니다.

c) σ - Selection (선택): 특정 조건에 맞는 행을 선택하여 새로운 관계를 생성하는 연산자입니다. 조건은 일반적으로 등식, 부등식 등이 포함됩니다.

d) ÷ - Division (나눗셈): 두 관계 R과 S에 대해 R에서 S의 모든 값이 있는 행을 찾아 그 값으로 새로운 관계를 만듭니다. 일

반적으로 이는 조인 및 프로젝션을 통해 수행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관계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관계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관계해석(Relational Calculus) | 필기&실기 개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쿼리 언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중에서도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은

sugoring-it.tistory.com


 

➡️ 20.  [용어] 아래 설명에 대한 빈칸에 알맞은 단어를 작성하시오.

고객이 주문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기록된 주문 릴레이션에 없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 무결성 제약 조건을 준수해야 합니다.

정답

참조

해설

온라인 쇼핑몰의 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주문 릴레이션의 "제품 ID" 속성이 제품 릴레이션의 "제품 ID"를 참조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여기서 참조 무결성은 주문된 제품이 실제로 제품 릴레이션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참조 무결성이 유지되지 않으면 주문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제품이 주문되었다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참조 무결성 제약 조건을 적용하여 올바른 관계를 유지해야 합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참조 무결성(referential integrity) | 필기&실기 개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참조 무결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

sugoring-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