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 | 필기&실기 개념

by YUNI Heo 2024. 1. 15.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  | 필기&실기 개념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다양한 형태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 중점을 둔 기술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TM이 어떻게 작동하며 어떤 장점을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기본 동작 원리

  • 비동기 전송 방식: ATM은 비동기 전송 모드로 동작합니다. 이는 데이터가 고정된 크기의 패킷으로 나누어져 전송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각 패킷은 53바이트로 고정되어 있어,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도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
  • 가상 회선 기술: ATM은 가상 회선 기술을 사용하여 여러 통신 회선을 하나의 물리적인 회선으로 통합합니다. 이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네트워크를 사용할 때 효율적인 대역폭 할당을 가능케 합니다.
  • 고속 전송: ATM은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합니다. 고정된 패킷 크기와 가상 회선 기술 덕분에 빠른 전송 속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장점

  • 고성능: ATM은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 가상 회선 기술을 활용하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할당하므로 여러 사용자 간의 네트워크 공유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다양한 미디어 지원: 음성, 데이터,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하여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지연 시간: ATM은 패킷의 고정된 크기와 전송의 신속성으로 인해 낮은 지연 시간을 보장합니다.

 

⭕ [예시] 

➡️ 2023년도 3회 실기 기출 - 9.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통신 기술 용어를 작성하시오.

- 고정된 크기의 53 바이트 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
- 이러한 작은 크기의 셀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전송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주로 고속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각각의 셀은 레이블(헤더)과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 유형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정답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

해설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전달모드)은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다양한 형태와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데 중점을 둔 기술입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기출]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1. [JAVA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childInstance = new Child(); childIns

sugoring-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