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plit 메서드 | 필기&실기 개념

by YUNI Heo 2024. 1. 20.
반응형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plit 메서드 | 필기&실기 개념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다룰 때 중요한 메서드 중 하나인 split 메서드는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해 주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plit 메서드의 사용법과 다양한 활용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기본 구조

string = "파이썬은 즐겁다"
result = string.split()
print(result)

[결과]

['파이썬은', '즐겁다']

split 메서드는 기본적으로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눕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파이썬은"과 "즐겁다" 두 부분으로 나눠진 리스트가 반환됩니다.

 

➡️ 구분자 지정하기

string = "파이썬,자바,씨샵"
result = string.split(',')
print(result)

[결과]

['파이썬', '자바', '씨샵']

split 메서드를 활용하여 특정 구분자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쉼표(', ')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합니다.

 

➡️ 분리된 부분 활용하기

string = "이름:홍길동:나이:30"
result = string.split(':')
name = result[0]
age = result[1]
print(f"이름: {name}, 나이: {age}")

[결과]

이름: 홍길동, 나이: 30

split 메서드를 사용하면 나뉜 부분을 리스트의 각 요소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거나 다양한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예시] 

➡️ 2023년도 3회 실기 기출 - 14. [용어] 다음 설명에 대한 파이썬 메서드를 작성하시오.

- num1, num2 = input()._____()
-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하는데 사용됩니다.
-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하거나 분리할 수 있습니다.

정답

split

해설

split 메서드는 파이썬 문자열을 특정 구분자를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메서드를 활용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을 원하는 형태로 쉽게 가공할 수 있습니다. 예시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 두 변수에 할당하는 예시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split 메서드는 문자열에서 특정 부분을 추출하거나 분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최신] 실기 기출]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2023년도 3회]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기출 | 회차별 정리 ➡️ 1. [JAVA 코드] 알맞은 출력 값을 작성하시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childInstance = new Child(); childIns

sugoring-it.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