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론트엔드/React-Native

리액트 네이티브 React Native | 리액트 기반 프레임 워크

by YUNI Heo 2024. 3. 19.
반응형

 

⭕ 리액트 네이티브 React Native | 리액트 기반 프레임 워크

리액트 네이티브(React Native)는 페이스북이 개발한 크로스플랫폼 모바일 앱 개발 프레임워크로, 널리 사용되는 웹 개발 언어인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합니다. 리액트 네이티브는 리액트와 기술적으로 약 10%만 공유하며, 주로 웹 브라우저 대상으로 동작하는 리액트와는 달리, HTML과 CSS를 사용하지 않고도 실행 가능한 앱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는 기존에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 사용되는 자바나 코틀린, iOS 앱 개발에 필요한 오브젝트C나 스위프트와 같은 언어에 비해 훨씬 접근성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리액트 네이티브는 개발자들에게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네이티브 수준의 성능을 내는 모바일 앱을 개발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한 번의 개발로 안드로이드와 iOS 양쪽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는 앱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개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소규모 개발 팀이나 스타트업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며, 두 운영체제 모두에서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됩니다.

하지만, 리액트 네이티브를 사용함에 있어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첫째, 리액트 네이티브는 자바스크립트의 특성상 네이티브 코드보다는 다소 성능 면에서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둘째, 복잡한 네이티브 기능이나 최신 API를 사용하려면 네이티브 코드를 직접 작성하거나 브리지를 사용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는 추가적인 학습 곡선과 개발 노력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셋째, 플랫폼 간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각각의 플랫폼 특성을 최대한 살리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며, 때로는 플랫폼별 최적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액트 네이티브는 크로스플랫폼 모바일 앱 개발의 강력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커뮤니티의 지원과 업데이트를 통해 발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바스크립트에 익숙한 개발자라면, 리액트 네이티브는 모바일 앱 개발로의 전환을 매우 수월하게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