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타143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QL CREATE 문법 - 데이터 정의어(Data Definition Language, DDL) | 필기&실기 개념 ✅ CREATE 문법 CREATE 문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개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여기에는 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 등이 포함됩니다. 💡 CREATE - SCHEMA 문법 CREATE SCHEMA 문법은 새로운 스키마를 생성하고 해당 스키마의 소유자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객체들을 그룹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새로운 스키마 생성 및 소유자 설정 CREATE SCHEMA 스키마명 AUTHORIZATION 사용자_id; 예를 들어, 스키마명을 "my_schema"로 하고 소유자를 "my_user"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Example CREATE SCHEMA my_schema AUTHORIZATION my_use..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데이터베이스 파일 구조 | 필기&실기 개념 ✅ 파일 구조 💡 순차 방법 순차 방법은 레코드들을 물리적인 순서와 논리적인 순서가 동일하도록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있는 레코드들은 순차적으로 연속적인 블록에 저장되며, 각 레코드는 인덱스 없이 순차적으로 접근됩니다. 이 방법은 레코드들을 정렬된 순서로 유지해야 할 때 유용하며, 전체 파일을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 인덱스(Index) 방법 인덱스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키 값과 해당 레코드의 주소를 포함하는 자료구조입니다. 이 자료구조는 효율적인 데이터 검색을 위해 사용됩니다. 인덱스는 키 값으로 정렬된 구조로서, 특정 필드를 기준으로 레코드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검색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QL 분류 - DDL, DML, DCL | 필기&실기 개념 ✅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특징 Structured Query Language, SQL 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언어입니다. SQL 문장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소문자 구분하지 않음: SQL 문은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즉, SELECT와 select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관리자에 따라 대소문자 구분 설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장 마지막에 세미콜론(;): SQL 문의 각 문장은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합니다. 세미콜론은 SQL 문장의 종료를 나타내며, 다음 문장과의 구분을 위해 사용됩니다. 필답형 시험에서는 세미콜론을 빠뜨리면 오답 처리될 수 있으..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QL SELECT 문법 -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 | 필기&실기 개념 ✅ SELECT 문법 SELECT 문법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SQL 명령어입니다. SELECT 문을 사용하면 테이블에서 원하는 열(칼럼)의 데이터를 선택하고, 조건을 지정하여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SELECT 문은 데이터를 읽기만 하므로 원본 데이터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 SELECT 문장 구조 SELECT: 조회할 열의 목록을 지정합니다. 열1, 열2 등은 조회 결과에 포함될 열의 이름입니다. FROM: 데이터를 조회할 테이블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WHERE: 조회할 행을 선택하는 조건을 지정합니다.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 조회됩니다. SELECT 열1, 열2, ...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절; 예를 들어, "Employees"라는 테이블에서 직급이 "Manager"인..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데이터베이스 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 | 필기&실기 개념 ✅ 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 기법은 다중 트랜잭션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트랜잭션들의 동시 실행을 조절하는 기법입니다. 병행 제어는 동시성을 향상시키고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트랜잭션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이러한 기법은 트랜잭션들 간의 상호작용과 충돌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일관된 접근을 제공합니다. 💡 로킹(Locking) 로킹(Locking)은 병행 제어 기법 중 하나로, 같은 자원을 액세스하는 다중 트랜잭션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트랜잭션의 순차적 진행을 보장하는 직렬화 기법입니다. 로킹은 트랜잭션들이 공유하는 ..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데이터베이스 회복(Recovery) 기법과 Redo, Undo | 필기&실기 개념 ✅ 회복(Recovery) 기법 회복(Recovery) 기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장애로 인해 손상된 상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손상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여러 가지 회복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 즉각 갱신 회복 기법(Immediate) 즉각 갱신 회복 기법은 롤백(Rollback) 시 REDO와 UNDO가 모두 실행되는 트랜잭션 처리법입니다. 이 기법에서는 트랜잭션 수행 중 갱신 결과를 바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합니다. 💡 지연 갱신 회복 기법(Deferred) 지연 갱신 회복 기법은 트랜잭션이 완료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회복 기법입니다. ✅ Redo, Undo 💡 Redo 장애 발생 전 DB로 복구하는 기법으로 디스크..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트랜잭션 제어언어(Transaction Control Language, TCL) | 필기&실기 개념 ✅ 트랜잭션 제어언어(Transaction Control Language, TCL) 트랜잭션 제어언어(Transaction Control Language, TCL)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트랜잭션의 제어와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TCL은 트랜잭션의 시작, 종료, 커밋, 롤백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데이터 제어어(Data Control Language, DC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보안과 권한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하지만 TCL은 트랜잭션(Transaction)을 제어하는데 특화된 몇 가지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TCL은 '트랜잭션을 제어하는 SQL 언어'로 볼 수 있습니다. 💡 커밋(Commit)..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트랜잭션(Transaction) 특성 [ACID] | 필기&실기 개념 ✅ 트랜잭션(Transaction) 특성 [ACID]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로 정의됩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입니다. 트랜잭션은 일련의 연산들을 포함하며, 이 연산들은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되거나, 실패할 경우 이전 상태로 롤백됩니다. 💡 원자성(Atomiciry)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모든 연산은 전부 실행되거나 전부 취소되어야 합니다. 트랜잭션은 원자적으로 동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관성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트랜잭션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이전 상태로 롤백되어야 합니다. 💡 일관성(Consistency) 트랜잭션 수행 전과 수행 완료 후의 데이터베.. 2023. 7. 10.
컴퓨터활용능력 컴활 1급 | 필기 기출 | 2020년 07월 04일(2회) | 1과목 : 컴퓨터 일반 ✅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 및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펌웨어(Firmwar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주로 하드디스크의 부트 레코드 부분에 저장된다.인터프리터 방식으로 번역되어 실행된다.운영체제의 일부로 입출력을 전담한다.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만으로도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펌웨어(Firmware)펌웨어는 장치의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으로, 기기의 작동 방식과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전자기기나 컴퓨터의 펌웨어는 기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안정적이고 원활한 작동을 보장합니다.펌웨어는 제조사나 개발자에 의해 설계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기능 개선, 버그 수정, 보안 강화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펌웨어 업데이트는 주로 인터넷을 .. 2023. 7. 3.
스트링부트 | 리포지터리 ✅리포지터리엔티티만으로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 할 수 없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는 JPA 리포지터리가 필요하다.리포지터리는 엔티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접근하는 메서드들(예: findAll, save 등)을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는 테이블에 어떤 값을 넣거나 값을 조회하는 등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가 필요하다.이 때 이러한 CRUD를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하는 계층이 바로 리포지터리이다. 💡 QuestionRepository 인터페이스 생성QuestionRepository는 리포지터리로 만들기 위해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했다. JpaRepository를 .. 2023. 5. 2.
스트링부트 | 엔티티 Entity ✅ 엔티티 Entity데이터베이스 테이블과 매핑되는 자바 클래스를 말한다. 엔티티는 모델 또는 도메인 모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SBB는 질문과 답변을 할 수 있는 게시판 서비스이다. 따라서 SBB에는 질문과 답변에 해당하는 엔티티가 있어야 한다. 💡 질문(Question) 엔티티속성명 - 설명id - 질문의 고유 번호subject - 질문의 제목content - 질문의 내용create_date - 질문을 작성한 일시@Entity 애너테이션: JPA가 엔티티로 인식한다.@Id 애너테이션: id 속성을 기본 키(primary key)로 지정한다. 기본 키로 지정하면 이제 id 속성의 값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때 동일한 값으로 저장할 수 없다. 고유 번호를 기본 키로 한 이유는 고유 번호는 엔티티에서 각.. 2023. 5. 2.
스트링부트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웹 서비스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대부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려면 SQL 쿼리(query)라는 구조화된 질의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다.  ✅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자바 문법만으로도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다. ORM을 이용하면 개발자가 쿼리를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ORM을 사용하면 내부에서 SQL 쿼리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므로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즉, 자바만 알아도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할 수 있다.ORM을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종류에 상관 없이 일관된 코드를 유지할 수 있어서 프로그램을 유지·보수하기.. 2023. 5. 2.
스트링부트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구조 ✅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구조규모를 갖춘 프로젝트를 만들고자 한다면 프로젝트 구조를 잘 이해해야 한다.  ✅ src/main/java 디렉터리💡 com.mysite.sbb 패키지자바 파일을 작성하는 공간이다. 자바 파일로는 HelloController와 같은 스프링부트의 컨트롤러, 폼과 DTO, 데이터 베이스 처리를 위한 엔티티, 서비스 파일 등이 있다. 💡 SbbApplication.java 파일스프링부트 애플리케이션의시작을 담당하는 파일이다. + Application.java 파일이다.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Sbb"라는 이름을 사용하면 SbbApplication.java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한다.SbbApplication 클래스에는 @SpringBootApplication 애너테이션이 적용.. 2023. 5. 2.
스트링부트 | Spring Boot Devtools, Live Reload, Lombok 사용법 및 설치 방법 ✅ 스트링부트 도구💡 Spring Boot Devtools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매우 유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자동 재시작 기능: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나 설정 파일이 변경될 때마다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여 변경 사항을 확인한다.라이브 리로드 기능: 브라우저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로드할 수 있는 LiveReload 기능을 제공하여 변경 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한다.클래스 패스 변경 감지 기능: 새로운 클래스나 리소스를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작업을 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을 재시작하지 않아도 된다.자동 구성 기능: 자동 구성 문제나 클래스 패스 충돌 문제를 해결한다.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 분리 기능: 개발 환경에서만 사용되도록 설계되어 운영 환경에서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2023. 5. 2.
스트링부트 | 컨트롤러 Controller ✅ 컨트롤러 Controller서버에 전달된 클라이언트의 요청(URL과 전달된 파라미터 등)을 처리하는 자바 클래스이다.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URL에 해당하는 컨트롤러가 선택되고, 컨트롤러는 해당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비즈니스 로직(Business Logic)을 호출하고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Spring MVC에서는 컨트롤러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View에 전달하여 HTML 등의 문서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컨트롤러의 역할은 요청을 처리하고 적절한 데이터를 View에 전달하는 것이다.💡 @Controller 애너테이션해당 클래스가 Spring MVC에서 컨트롤러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Controller 애너테이션이 있어야 스프링부트 프레임워크가 컨트롤러.. 2023. 5. 2.
스트링부트 | 스트링부트(String Boot)란? ✅ 스프링부트 Spring Boot 스프링(Spring)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자바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오픈소스 웹 프레임워크이다. 💡 웹 프레임워크 Web Framework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보안과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Spring Framework: Java 기반의 대표적인 웹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모듈과 기능을 제공한다.Django: Python 기반의 웹 프레임워크로, 빠르고 안정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Flask: Python 기반의 경량 웹 프레임워크로, 작은 규모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2023. 4. 26.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12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하기, 제품 소프트웨어 매뉴얼 작성 및 버전 등록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릴리즈 노트(Release Note)조직의 최종 사용자인 고객과 잘 정리된 릴리즈 정보를 공유하는 문서이다. 제품 소프트웨어의 패키징 도구패키징  작업 진행 시에 암호화/보안 기능을 고려하여 패키징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사용, 복제 방지, 과금 서비스를 통한 정상 사용자를 검증 가능한 저작권 기술을 감안한 도구를 통해 패키징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품 소프트웨어 매뉴얼제품 소프트웨어 개발단계부터 적용한 기준이나 패키징 이후 설치 및 사용자 측면의 주요 내용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제품 소프트웨어 설치 매뉴얼개발이 완료된 제품 소프트웨어를 고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형태로 패키징하고, 설치와 사용에 필요한 제반 절차 및 환경 등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매뉴얼이다. 소..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11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 운영체제의 특징, 네트워크 기초 활용하기, 기본 개발환경 구축하기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사용자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가상화물리적인 리소스들을 사용자에게 하나로 보이게 하거나, 하나의 물리적인 리소스를 여러 개로 보이게 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인터넷을 통해 가상화된 컴퓨터 시스템 리소스(IT 리소스)를 제공하고, 정보를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Network)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또는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이다. OSI, 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ntermational Standar..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10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케이스 설계, 애플리케이션 통합 테스트,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소프트웨어 테스트(Test)개발된 응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과 성능, 사용성, 안정성 등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노출되지 않은 숨어있는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찾아내는 활동이다. 테스트 환경 구축개발된 응용 소프트웨어가 실제 운영 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테스트하기 위하여 실제 운영 시스템과 동일한(또는 유사한 사양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등의 환경 시설을 구축하는 활동이다.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소프트웨어 각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 관련 오류 및 결함을 찾아내기 위한 체계적인 테스트 기법이다. 테스트 결함 관리각 단계별 테스트 수행 후 발생한 결함의 재발 방지와 유사 결함 발견 시 처리 시간 단축을 위해 결함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현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SW 개발 보안소스 코드 등에 존재하는 보안 취약점을 제거하고, 보안을 고려하여 기능을 설계 및 구현하는 등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을 말한다. 시큐어코딩 가이드설계 및 구현 단계에서 해킹 등의 공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인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제거하고, 외부 공격으로부터 안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법이다. 보안 취약점(Vulnerability)해킹 등 외부 공격으로 시스템의 보안정책을 침해하는 보안사고의 실제 원인이 되는 시스템상의 보안 허점이다. 보안 약점(Weakness)보안 취약점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SW의 결함, 실수, 버그 등의 오류를 뜻한다. 개발 단계의 보안 리스크이다. 기밀성(Confidenfally)인가되지 않은 개인 혹은 시스..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8 서버 프로그램 구현 | 개발환경 구축, 공통 모듈 구현, 배치 프로그램 구현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공통 모듈 구현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기능을 분할하고 추상화하여 성능을 향상하고 유지보수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공통 컴포넌트 구현 기법이다. 응집도(Cohesion)모듈의 독립성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모듈 내부 구성요소 간 연관 정도이다.정보은닉 개념의 확장개념으로 하나의 모듈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합도(Coupling)모듈 내부가 아닌 외부의 모듈과의 연관도 또는 모듈 간의 상호의존성이다.소프트웨어 구조에서 모듈 간의 관련성을 측정하는 척도이다. 공통 모듈 구현 대상공통 모듈은 화면 모듈, 화면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서비스 컴포넌트 비즈니스 트랜잭션 컴포넌트 등이 있다. 서버 프로그램 구현업무프로세스를 기반으로 개발언어와 도구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7 SQL 응용 | 데이터베이스 기본, 응용 SQL 작성하기, SQL 활용 및 최적화 | 단원별 정리 ✅ 트랜잭션(Transaction)[컴퓨터 과학/[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트랜잭션(Transaction) 특성 [ACID]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트랜잭션(Transaction) 특성 [ACID] | 필기&실기 개념✅ 트랜잭션(Transaction) 특성 [ACID] 💡 원자성 (Atomiciry)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모든 연산은 전부 실행되거나 전부 취소되어야 합니다. 트랜잭션은 원자적으로 동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관성 있sugoring-it.tistory.com 💡 트랜잭션의 특성 중 일관성(Consisitency), 지속성(Durability) 외 2개의 특성을 쓰시오. [단답형] 2020년 1회원자성(Atomiciry)일관성(Consist..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6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C언어, 자바, 파이썬 | 단원별 정리 ✅ 15. C언어절차 지향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컴퓨터가 실행해야 하는 순서대로 프로그램을 작성한다.다양한 데이터 타입과 연산자를 제공하며, 메모리 관리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하다.운영체제,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크,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한다. 💡 자료형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형식이다. 정수형char: %c, 1바이트, -128 ~ 127short: %d, 2바이트, -32,768 ~ 32,767 int: %d, 4바이트, -2,147,483,648 ~ 2,147,483,647long: 4바이트, -2,147,483,648 ~ 2,147,483,647long long: 8바이트,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실수..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5 인터페이스 구현 | 인터페이스 설계 확인,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EAI, 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 연계,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솔루션이다. ESB, Enterprise Service Bus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는 아키텍처이다.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속성-값 쌍 또는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오브젝트를 전달하기 위해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를 사용하는 개방형 표준 포맷이다.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HTML의 단점을 보완한 인터넷 언어로, SGML의 복잡한 단점을 개..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4 통합 구현 | 연계 메커니즘 구성, 내외부 연계 모듈 구현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연계 메커니즘응용 소프트웨어와 연계 대상 모듈 간의 데이터 연계 시 요구사항을 고려한 연계방법과 주기를 설계하기 위한 흐름이다. 커넥션 풀(Connection Pool)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된 커넥션을 미리 만들어서 풀(pool) 속에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커넥션을 풀에서 가져다가 쓰고 다시 풀에 반환하는 기법이다.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조회하거나 업데이트하기 위해서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이다. API, Application Programming Connectivity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나 프로그램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이다. 소켓(Socke..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3 데이터 입출력 구현 |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물리 데이터 저장소 설계,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하기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논리 데이터 모델링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세스의 기초 설계 단계로 비즈니스 정보의 구조와 규칙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이다. 물리 데이터 모델링관계 데이터 모델링으로도 불리며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DBMS의 특성, 기능, 성능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구조(Schema)를 작성해 나가는 기법이다. 정규화(Nomalization)관계형 데이터 모델에서 데이터의 중복성을 제거하여 이상 현상을 방지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해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이다.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패턴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 6.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데이터 모델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추상화하여..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2 화면 설계 | UI 요구사항 확인, UI 설계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UI, User Interface넓은 의미에서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물리적, 가상의 매개체이다. 프로토타입(Prototype)컴퓨터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의 설계 또는 성능, 구현 가능성, 운용 가능성을 평가하거나 요구사항을 좀 더 잘 이해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기능을 간략한 형태로 구현한 시제품이다.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을 명세화, 시각화, 문서화할 때 사용되는 모델링 기술과 방법론을 통합해서 만든 표준화된 범용 모델링 언어이다. 클래스 다이어그램(Class Diagram)객체 지향 모델링 시 클래스의 속성 및 연산과 클래스 간 정적인 관계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이다. 소프트웨어 .. 2023. 3. 8.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실기 1 요구사항 확인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현행 시스템 분석, 요구사항 확인 | 단원별 정리 ✅ 핵심 키워드애자일 방법론절차보다는 사람이 중심이 되어 변화에 유연하고 신속하게 적응하면서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신속 적응적 경량 개발 방법론이다. 객체 지향 분석(OOA, Object Oriented Analysis)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요구된 문제와 관련된 모든 클래스(객체), 속성과 연산, 관계를 정의하여 모델링하는 기법이다. 디자인 패턴소프트웨어 공학의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공통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자주 쓰이는 설계 방법을 정리한 패턴이다. 요구사항 분석도출된 요구사항 간 상충을 해결하고 소프트웨어의 범위를 파악하여 외부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Software Architecture)시스템에 대한 기본 조직 체계로 시스템을 이루.. 2023. 3. 8.
자바 Java | 접근제어자: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캡슐화 원칙과 예시 코드 ✅ 접근제어자 Access Modifiers 클래스, 변수, 메서드의 접근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접근제어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캡슐화 Encapsulation 원칙을 구현한다. 💡 private 접근제어자 같은 클래스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다른 클래스에서 private 멤버에 접근하려면 public 메서드를 통해 접근한다. 객체 생성 후, 멤버 변수에 접근 가능하다. 객체 생성 후, 메서드를 호출하려면 같은 클래스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한다. class MyClass { private int myPrivateVar; private void myPrivateMethod() { System.out.println("Private method"); } } 💡 default.. 2023. 3. 7.
자바 Java | import문 사용법과 단축키 ✅ import문 다른 패키지의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사용하려는 클래스명을 작성하는 과정을 가진다. import문을 사용한다면 클래스명에서 패키지명을 생략할 수 있다. import문은 컴파일러에게 클래스의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import문 사용 파일의 맨 위에 작성한다. import문을 사용하여 가져온 클래스와 선언한 변수나 메서드의 이름이 중복되는 경우, 클래스명 앞에 패키지명을 붙여 구분한다. 모든 패키지와 클래스를 가져오는 import java.lang.*; 문장은 자동으로 삽입되므로 생략 가능하다. 여러 개의 클래스가 사용될 때, '*'를 사용하여 지정된 패키지에 속하는 모든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 '*'를 사용한다고 하여 성능상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 import 패키지명.. 2023.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