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덱스7

파이썬 Python | 문자열: count 함수 ⭕ 파이썬 Python | 문자열: count 함수파이썬에서 문자열의 count() 함수는 매우 유용한 메서드 중 하나입니다. 이 메서드는 문자열 내에서 특정 문자나 문자열의 등장 횟수를 세어서 그 수를 반환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이나 텍스트 처리에서 문자의 빈도를 파악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 함수의 구조string.count(x, start, end)x: 찾고자 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입니다.start: 검색을 시작할 인덱스입니다 (이 인덱스를 포함).end: 검색을 종료할 인덱스입니다 (이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음). ➡️ 함수의 특징대소문자 구분: 'A'와 'a'는 다르게 취급됩니다.범용성: 단일 문자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검색 가능합니다.범위 지정: start와 end를 설정하지 않으면 기.. 2024. 4. 21.
자바 Java | 알고리즘 | 배열 ⭕ 자바 Java | 알고리즘 | 배열 배열은 동일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일렬로 나열한 자료구조입니다. 각 요소는 인덱스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배열은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메모리 상에서 연속된 공간에 요소를 저장합니다. ➡️ 배열의 특징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배열은 각 요소마다 고유한 인덱스가 있으므로, 해당 인덱스를 사용하여 배열 내의 요소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렵다: 배열의 특정 위치에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위치 이후의 모든 요소를 이동시켜야 합니다. 이는 성능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 변경할 수 없다: 배열을 선언.. 2024. 3. 6.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관계 연산자 |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관계해석(Relational Calculus) | 필기&실기 개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쿼리 언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중에서도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은 데이터를 조작하고 검색하는 데에 사용되는 두 가지 주요 접근 방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의 특징과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 관계대수(Relational Algebra) 표현 방법 관계대수는 튜플 관계 대수 및 집합 관계 대수의 두 가지 주요 형태로 표현됩니다. 튜플 관계 대수는 튜플 수준에서 연산을 수행하고, 집합 관계 대수는 집합 수준에서 연산을 수행합니다. 연산자 SQL 쿼리 언어의 기반이 되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σ (S.. 2024. 1. 26.
자바 Java | 알고리즘 | 자료구조(Data Structure) - 배열(Array) 리스트(List) ⭕ 자바 Java | 알고리즘 | 자료구조(Data Structure) - 배열(Array) 리스(List) 두 가지 주요 자료구조인 배열과 리스트는 각각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상황에서 선택되어 사용됩니다. ➡️ 배열(Array) 배열은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값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 각 원소는 고유한 인덱스를 가지고 있어 해당 인덱스를 통해 직접 참조할 수 있습니다. int[] numbers = {1, 3, 5, 7, 9}; 배열의 특징 인덱스를 통한 직접 접근: 배열은 각 원소가 고유한 인덱스를 가지므로, 해당 인덱스를 사용하여 빠르게 값을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값의 삽입 및 삭제 어려움: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할 때 주변의 값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연산이 복잡합니다. 예를 들어, 두 번째 값.. 2024. 1.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필기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 기출문제 정리본, 두문자 ✅ 2022년 04월 24일 💡 41.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정규형은? 테이블 R에 속한 모든 도메인이 원자 값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 R에서 키가 아닌 모든 필드가 키에 대해 함수적으로 종속되며, 키의 부분 집합이 결정자가 되는 부분적 종속이 존재하지 않는다. 테이브 R에 존재하는 모든 함수적 종속에서 결정자가 후보키이다. BCNF 제1 정규형 제2 정규형 제3 정규형 [컴퓨터 과학/[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개념] -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정규화(Normalization) -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과정 | 필기&실기 개념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정규화(Normalization) -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과정 | 필기&실기 개념 ✅ 정규화(Normalization) [도부이결다조] 정규화는 데.. 2023. 2. 27.
자바 JAVA | 백준 11660번 구간 합 구하기 5 | 2차원 배열에서 구간 합 구하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1660 11660번: 구간 합 구하기 5 첫째 줄에 표의 크기 N과 합을 구해야 하는 횟수 M이 주어진다. (1 ≤ N ≤ 1024, 1 ≤ M ≤ 1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표에 채워져 있는 수가 1행부터 차례대로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네 www.acmicpc.net ✅ 문제 N×N개의 수가 N×N 크기의 표에 채워져 있다. (x1, y1)부터 (x2, y2)까지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x, y)는 x행 y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N = 4이고, 표가 아래와 같이 채워져 있는 경우를 살펴보자. 여기서 (2, 2)부터 (3, 4)까지 합을 구하면 3 + 4 + 5 + 4 + 5 + 6 = 27이고, (.. 2022. 9. 20.
자바 JAVA | 백준 3003번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 배열(Array)의 개념과 사용 방법 https://www.acmicpc.net/problem/3003 3003번: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첫째 줄에 동혁이가 찾은 흰색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의 개수가 주어진다. 이 값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www.acmicpc.net ✅ 문제 동혁이는 오래된 창고를 뒤지다가 낡은 체스판과 피스를 발견했다. 체스판의 먼지를 털어내고 걸레로 닦으니 그럭저럭 쓸만한 체스판이 되었다. 하지만, 검은색 피스는 모두 있었으나, 흰색 피스는 개수가 올바르지 않았다. 체스는 총 16개의 피스를 사용하며, 킹 1개, 퀸 1개, 룩 2개, 비숍 2개, 나이트 2개, 폰 8개로 구성되어 있다. 동혁이가 발견한 흰색 피스의 개수가 주어졌을 때, 몇 개를 더하거나 빼야 올.. 2022. 9.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