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관성5

[SQLD 50회] 객관식 6번 | 데이터 모델링 | 개념 및 기출 해설 회차별 정리 ⭕ [SQLD 50회] 객관식 6번 | 데이터 모델링 | 개념 및 기출 해설 회차별 정리 ➡️ 6. 데이터 모델링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항목을 고르시오. 중복(Duplication): 데이터 모델은 동일한 정보를 여러 위치에 저장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비유연성(Inflexibility): 올바르지 않은 데이터 모델링은 작은 업무 변화에도 데이터 모델을 변경해야 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어려워집니다. 데이터 정의를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비일관성(Inconsistency): 데이터 중복이 없더라도 데이터 일관성이 깨질 수 있습니다. 데이터 모델링을 통해 데이터 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함으로써 이러한 일관성 위험을 사전에 방지.. 2024. 1. 24.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데이터베이스 무결성(Integrity) | 필기&실기 개념 ✅ 무결성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정확성과 유효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의된 규칙들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이러한 규칙들을 준수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데이터의 무결성은 데이터가 올바르게 저장, 수정, 삭제되는 것을 보증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무결성 제약 조건 💡 도메인 제약 조건(Domain Constraint) 도메인 제약 조건은 각 속성 값이 원자값(Atomic value)이어야 한다는 규칙을 의미합니다. 이는 속성의 값이 최소 단위로 분해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속성의 기본값이나 허용 가능한 값의 범위를 지정하여 속성 값의 유효성을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 키 제약 조건(Key Constraint) 키 제약.. 2023. 7. 12.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SQL UPDATE 문법 - 데이터 조작어(Data Manipulation Language, DML) | 필기&실기 개념 ✅ UPDATE 문법 UPDATE 문법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행(레코드)을 수정하는 SQL 명령어입니다. UPDATE 문을 사용하면 테이블에서 지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행의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UPDATE 문은 데이터를 실제로 수정하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UPDATE 문장 구조 UPDATE: 행을 수정할 테이블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SET: 업데이트할 열과 값의 쌍을 지정합니다. 열1은 값1으로, 열2는 값2로 변경됩니다. WHERE: 업데이트할 행을 선택하는 조건을 지정합니다.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 업데이트됩니다. UPDATE 테이블명 SET 열1 = 값1, 열2 = 값2 WHERE 조건절; 예를 들어, "Employees"라는 테이블에서 직급이 "Intern"인 직원들의 급여를.. 2023. 7. 11.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데이터베이스 회복(Recovery) 기법과 Redo, Undo | 필기&실기 개념 ✅ 회복(Recovery) 기법 회복(Recovery) 기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장애로 인해 손상된 상태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손상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여러 가지 회복 기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 즉각 갱신 회복 기법(Immediate) 즉각 갱신 회복 기법은 롤백(Rollback) 시 REDO와 UNDO가 모두 실행되는 트랜잭션 처리법입니다. 이 기법에서는 트랜잭션 수행 중 갱신 결과를 바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합니다. 💡 지연 갱신 회복 기법(Deferred) 지연 갱신 회복 기법은 트랜잭션이 완료된 후에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회복 기법입니다. ✅ Redo, Undo 💡 Redo 장애 발생 전 DB로 복구하는 기법으로 디스크.. 2023. 7. 10.
정보처리기사 정처기 | 트랜잭션(Transaction) 특성 [ACID] | 필기&실기 개념 ✅ 트랜잭션(Transaction) 특성 [ACID]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로 정의됩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입니다. 트랜잭션은 일련의 연산들을 포함하며, 이 연산들은 모두 성공적으로 수행되거나, 실패할 경우 이전 상태로 롤백됩니다. 💡 원자성(Atomiciry)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모든 연산은 전부 실행되거나 전부 취소되어야 합니다. 트랜잭션은 원자적으로 동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일관성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트랜잭션 중간에 오류가 발생하면, 이전 상태로 롤백되어야 합니다. 💡 일관성(Consistency) 트랜잭션 수행 전과 수행 완료 후의 데이터베.. 2023. 7. 10.
반응형